Recorda

Recorda

  • All (8)
    • Life_ing (0)
      • Today (0)
    • Review_ing (1)
      • Book_Review (0)
      • Movie_Review (1)
    • Study_ing (7)
      • About_Planning (1)
      • About_Marketing (1)
      • About_Programming (5)
      • About_English (0)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드럼치는 프로그래머
  • Mint & Latte_.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Recorda

컨텐츠 검색

태그

메모리구조 앨런튜링 콜로서스 최초의컴퓨터 이미테이션게임 마케터인터뷰 애니그마 프로세스메모리 코딩교육 마케팅초보 마케팅콘텐츠 마케팅팁 피지컬컴퓨팅 가상메모리 공학교육 초보기획자 어쩌다기획 기획인사이트 센서교육 리눅스명령어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Study_ing/About_Programming(5)

  • [피지컬컴퓨팅] 아두이노에 대하여

    #서론_기본으로 돌아가자생체신호 응용 프로젝트를 아두이노로 구현해보겠다 생각했는데, 막상 PCB보드에 올라가는 부품들을 보니 막연한 기분이 들었습니다. 아마, 내가 아두이노에 대해서 잘 모르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이 들어, 먼저 아두이노에 대해 충분한 사전 조사를 실행하고 본 포스트를 통해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본론1_아두이노는 무엇일까?아두이노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아두이노에 대한 설명과 그 활용법, 다양한 프로젝트에 관해 볼 수 있습니다. 우선, 본 홈페이지에서 설명하는 아두이노에 대해 간략히 정리해보았습니다.(1) 아두이노란? 아두이노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좀 더 쉽게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한 오픈소스 플랫폼입니다. 조금 더 쉽게 설명하자면, 아두이노는 아주 기초적인 컴퓨터라고 말할 수 ..

    2018.07.11
  • [피지컬컴퓨팅] 서보모터

    #서론_'왜?'라는 답답함에서부터 주니어 소프트웨어 교육 업계에서 야매로, 정식으로 통합 2년 넘게 근무하면서 배워온 걸 정리해본 적이 없는 것 같아요. 그래서 깨알 같이 메모해둔 것을 최근 것부터 발굴하며 하나씩 써보려고 합니다. (물론 지금은 그 업계를 떠났지만^^) 근무 당시 교구에 센서를 좀 더 추가할 수는 없냐는 요청이 다수 들어왔습니다. 간략한 상황만 들은 뒤 자세한 연락이 오기 전 미리 테스트하기 위해서 기존 교구와 서보 모터를 연결하려고 시도해보았는데요, 연결은 분명 잘 했는데 꽂은 핀에 따라서 움직이는 범위도 다르고 LED도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상황이 계속 되었습니다. 펌웨어 코드의 문제인 것 같아 읽어보는데 공부가 더 필요하구나 싶어 서보모터에 대해 좀 더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본론..

    2018.07.06
  • [JAVA] STATIC/ARRAY

    #STATIC [Test_01.java source] .java 파일의 이름과 public class의 이름은 동일해야 compile error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JAVA는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public class 내에 함수 형태로 존재합니다. static으로 선언된 모든 것은 memory에 미리 할당되어 있으므로 여러 번 사용할 시 memory가 부족할 수 있습니다. contructor는 class의 object가 새로 생성되면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object는 class가 정의하는 특성을 가진 가상의 덩어리입니다. 각 class는 shape가 동일하나 성분은 다른 존재라고 할 수 있다. [Test_01.java source의 debugging result] static은 memor..

    2017.07.22
  • [Linux] set nu/nonu

    vi를 사용하면서 line number를 볼 수 있는지 몰랐을 때 큰 불편함없이 노가다 코딩 및 디버깅을 했습니다. 그런 와중 비슷한 구조와 내용을 가진 코드 두 개를 비교할 일이 있었는데 (물론 diff를 사용해도 되지만) 구조를 좀 상세히 비교해보고 싶어서 한 줄씩 비교해본 적이 있어요. 그 때 코드의 line number까지 상세히 적어가며 비교/분석하니 후에 수정할 때 상당히 편하더라구요. 그리고 그 이후 디버깅할 때도 편했는데 왜 쓸 생각을 못했을까 싶었습니다. 역시 있는지 알아야 쓸 줄도 아는 것이 맞습니다. #set nu / set nonu vi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vi를 들어간 다음 읽기모드에서 :set nu 명령어를 실행해주면 코드 왼쪽에 line number가 나타납니다...

    2016.12.21
  • [OS] 프로세스 메모리 구조

    정말 옛날 옛적 첫 직장 다닐 때 찾아 정리했던 자료... 다시 들춰보니까 괜히 반갑네요:D #프로세스 메모리 구조 메모리 구조 :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 공간은 계층 구조를 갖습니다. CPU와 가장 가까운 공간부터 레지스터 -> CPU캐시 -> 메인메모리 -> 보조기억장치 -> 외부기억장치 순이며, 이 저장 공간들은 CPU로부터 멀어질수록 데이터를 저장하는 용량이 커지고 접근하는 속도는 느려집니다. 가상 메모리 : 실제 시스템에 있는 물리적인 메모리의 크기에 상관 없이 가상 공간을 프로세스에게 제공합니다. 이런 가상 메모리는 프로세스 전체가 메모리에 적재되지 않아도 프로세스의 실행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메모리 구조 : UNIX 시스템은 실행 중인 프로세스에게 4GB의 가상 메모리 공간을 할당..

    2016.05.03
이전
1
다음
하뺑글 기록 블로그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